본문 바로가기
금융/상식

기본적인 금융용어 (지속적으로 최신화하는 게시글) (21/11/01최신화)

by cchucchu 2021. 11. 1.
728x90
반응형

이번 게시글은 특이하게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게시글입니다.
주식이나 부동산 등에 관한 경제, 경영에 대한 용어들을 지속적으로 기록하도록 하겠습니다.
참조사이트는 해당 키워드별로 나타내도록 하겠습니다.
(저작권 문제도 있고, 아래에 취합하는 것도 생각했지만 하나하나 겹치는 것 보다는 그때마다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1. BPS(Book-Value Per Share) : 주당순자산가치
계산방법 = 기업순자산/발행주식수
- 청산가치라고도 하는 주당순자산가치입니다.
이는 기업이 만약 지금 당장 모든 활동을 중단하고 기업의 자산을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 주당 얼마씩 돌아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Share도 주식이라는 뜻을 가진다고 합니다.)
말그대로 현재 순자산을 주식수로 나누는 개념

https://md2biz.tistory.com/311
아래의 3번까지의 개념들은 치킨요정님의 글에서 참고하였습니다.


2. EPS(Earning Per Share) : 주당순이익
계산방법 = 당기순이익/발행주식수
당기순이익 : 기업이 일정기간동안 얻은 모든 수익에서 지출한 모든 비용을 공제하고 순수하게 남는 이익.
-> 기업이 한 해 동안 순수하게 얼마나 돈을 벌었는지 나타내는 값.
이를 발행주식수 만큼 나누면 기업이 1년동안 얼마의 이익을 벌었는지 확인가능

3. PER(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
계산방법 = 현재주가/EPS
기업의 현재 주가와 EPS와의 비율을 나타낸 값.
일반적으로 PER이 작다는 것은 기업이 나는 순이익에 비해 현재 주가가 저평가 되었다는 것.
(분모값이 커지면 1년간 수익이 그만큼 컸다는 의미가 되므로, 혹은 자본에 비해 1년간 벌어들였던 수익이 크다는 의미)
ex) 현재주가 20만원, EPS2만원일 경우
20만원/2만원 = 10(배)
보통은 PER이 10배가 넘지만 2021년 기준으로 100배가 넘는 기업들도 나오고 있다.
- PER이 낮으면 저평가 되었다는 의미
(+) PER의 리스크
(1) 현재 이익은 높지만 미래 발전가능성이 낮은기업
수익이 높아서 PER이 작아지는게 아니라 반대로 자산가치가 떨어져서 PER이 작게 보이는 경우도 있다.
추후 상황을 확인해야할 것
(2) 시장소외주일 경우
대부분의 저평가주는 시장에서 소외받는 종목들. 그러므로 주가변동도 작을 수 밖에 없다.
저평가 우량주들을 발굴하여 장기투자를 하는 스타일의 포트폴리오를 구상해볼 수도 있다.
그러나 시장소외주들은 거래량이 거의 없기 때문에 생각하는 방향으로 주가가 움직이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저PER이지만 더 떨어질 가능성도 크다.

4. PIR(Price Income Ratio) :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
특정 지역or국가의 집을 사는데 얼마의 시간이 걸리는지 측정하는 지표
ex) 연소득 5,000만원, 집의 가격 5억원
=> 50/5 = 10 -> 지수 : 10
(+) 서울의 PIR은 뉴욕보다 더 높다.

5. RIR(Rent To Income Ratio) : 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
무주택자가 주거를 위해 쓰는 주택 임대료와 월 소득을 비교한 것 위의 2와 같은 맥락
-> 전세, 월세 사는 사람들의 임대료 부담 정도라고 보면 된다.
RIR가 높을수록 부담이 크다
(+)국내 세입자 RIR : 21.8
=> 월100 -> 21.8만원이 임대료
특정 지역or국가의 집을 사는데 얼마의 시간이 걸리는지 측정하는 지표
ex) 연소득 5,000만원, 집의 가격 5억원
=> 50/5 = 10 -> 지수10

6. ETF(Exchange Traded Fund) : 상장지수펀드
코스닥, 나스닥 등 특정 수치 지수 또는 금, 채권, 원유와 같은 특정 자산가격의 움직임에 따라 수익율이 달라지는 '상품'
코스피 지수를 주식처럼 사고파는 것과 같다.
특정주식을 사는 것이 아니라 그 종목을 포괄하는 시장을 사는 것인데 우선 코스피 지수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계산방법 : 코스피지수 = (현재 시가총액 합/ 1980.1.4기준 시가총액 합) * 100
시가총액 = 주식 수 * 주식 현재 가격
이런 ETF종목들은 네이버 증권에서 보면 확인할 수 있다.

이런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추가로 여기서 코스피200 ETF에서 삼성전자가 가장 큰 이유는 시총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장점 : 매매 수수료가 없다. (다른 펀드에 비해서 수수료가 저렴하다.)
주식처럼 배당금을 받을 수가 있고 리스크가 적다.
단점 : 실제 지수와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다.
출처 : https://entrkjm.tistory.com/45

7. S&P500(Standard & Poor's 500 Stock Indesx) : 500개 대형기업의 주식을 포함한 지수
500개의 기업 중에서는 대부분 미국기업이며, 맥그로-힐 계열사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가 소유 및 관리를 맡고 있다.
S&P500 뿐만 아니라 S&P1500, 글로벌1200등도 있다.
- 공업주 400종목, 공공주 40종목, 금융주 40종목, 운수주 20종목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화이자, 버크셔해셔우이, JP모건체이스 등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dohyuni1018&logNo=220283879232&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8. 다우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 :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
월스트리트 저널 창립자인 찰스 다우가 창안한 주가 지수
미국의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30개의 우량기업 주식 종목들
주식분할이나 다른 조정의 효과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다우지수는 주가의 산출평균이 아닌 비율평균 방식 채택
- 3M, AT&T, GE(Gernal Electric Company), 인텔, 월마트, 월트디즈니 등

9. 나스닥지수(NASDAQ Composite Index)
나스닥 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보통주의 주가를 시가총액에 기반해 산출한 지수
대부분은 하이테크, IT, 미래분야 기업들
-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페이스북, 알파벳 등
출처 : https://m.blog.naver.com/dream_asset/222147723806

10. 기축통화 (Key Currency)
국제 단위의 결제나 금융 거래의 기본이 되는 화폐 단위
기축 통화가 되기 위한 조건이 있는데,
(1) 해당 통화 발행 국가의 군사력, 외교적 영향력이 압도적
(2) 금 보유량 많아야함, 매우 큰 무역 적자
(3) 금융업이 발달 된 시장
(4) 국가의 신용도와 물가 안정
=> 현재까지 이런 조건들을 충족하는 국가는 미국밖에 없기 때문에 달러가 기축통화인 것
위의 조건들로 인해 미국은 경상수지 흑자와, 기축통화의 영향력을 둘 다 절대 잡을 수 없으므로 하나를 포기해야하는 상황이다.
출처 : https://namu.wiki/w/%EA%B8%B0%EC%B6%95%20%ED%86%B5%ED%99%94

11. 마진콜 (Margin Call)
금융시장에서 선물 거래를 중개하는 회사가 당일 결제를 매일 정산하여 선물 가격변동에 따른 손익을 증거금에 반영하고, 손실액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여 유지 증거금이 부족한 경우 증거금을 채워 넣도록 고객에게 요구하는 일.
즉, 중개회사가 최종 가격을 일일 정산하여 고객의 예탁금의 양이 유지중거금(10%)을 밑도는 경우 고객에게 부족한 증거금 보전을 통보하는 것 - 추가 납부해달라
- 투자자들이나 돈을 빌려준 금융회사가 마진콜을 받게 되면 자금을 즉시 보충해야 하며, 이에 응하지 못할 경우
거래소는 자동 반대매매(청산)을 통해 거래 계약 관계를 종결
반대로, 중개회사가 거래에 대한 일일정산을 통해 최종 가격을 산정한 장부상 가격이 유지증거금을 상회할 경우 고객은 남은 만큼의 돈을 인출할 수 있다.
출처 : https://m.blog.naver.com/dfdfdf55665/221003396021

12. ABS(Asset-Banked Securities) : 자산유동화
특정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현금 흐름을 기반으로 하여 발행되는 증권을 총칭
ex) A기업의 부동산 - ABS발행 - ABS의 현금흐름 = A기업의 부동산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에 기반
즉, 어떤 회사나 개인이 재산(부동산, 자동차 등)은 많은데 당장 쓸 현금이 부족할 때 현찰을 얻기위해 하는 것
현찰이 필요한데 당장 1000억짜리 빌딩을 구매할 수요도 적고, 임대료만으로는 현찰을 많이 만들기가 힘들다.
은행에서도 1000억을 한 번에 빌려주기가 힘들다.
그래서 나온 것이 1천억짜리 빌딩을 잔뜩 쪼개서 불특정의 여러사람으로부터 돈을 끌어오는 방법
출처 : https://namu.wiki/w/%EC%9E%90%EC%82%B0%EC%9C%A0%EB%8F%99%ED%99%94%EC%A6%9D%EA%B6%8C

13. MBS(Mortgage Banked Security) : 모기지저당증권
자산유동화증권의 한 종류, 모기지대출을 해준 은행이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저당권을 담보로 다시 채권을 발행하는 것 -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주범
미국에서는 집을 살때 보통 저렴한 이자율로 10년 이상 장기대출을 받을 수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집을 살때 이런식으로 구매를 한다. 대출 기한이 매우 길기 때문에 은행입장에서는 거액의 대출금을 대주고, 20~30년에 걸쳐 소액의 이자를 받기 때문에 불만을 가지는 것이 보통.
그래서 이 모기지를 담보로 채권을 발행하는 것이다. 그러면 수익률은 조금 떨어지지만 수십년에 걸려서 받을 원금과 이자를 한꺼번에 받을 수 있고, 유동성이 발생되기 때문에 매력적인 방법
채권을 발행하면 은행은 거래에서 빠지게 되고, 채무자의 이자는 은행을 거치지 않고 투자자에게로 직접 지급되는 방식
이렇게 은행은 원금을 회수하게 되고, 다시 이 원금으로 주택담보대출을 해준뒤, MBS를 발행한다. 부동산 시장이 호황이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주택 구입자가 파산하면 연관된 투자자들이 줄줄이 파산되는 방식. 주택시장에 대해서 너무나도 낙관전인 관점을 보고 만들었던 상품 중 하나.

 https://namu.wiki/w/%EB%AA%A8%EA%B8%B0%EC%A7%80%EC%A0%80%EB%8B%B9%EC%A6%9D%EA%B6%8C?from=MBS - 출처


14. CDO(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 : 부채담보부증권
여러 금융상품을 섞어서 재탕을 해낸 파생상품. 1차적인 금융상품의 위험을 줄이는 것을 목적.
주로 ABS등의 신용위험을 전가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배후에 CDO가 있는데, MBS를 담보로 한 CDO발행이 성행. MBS로 이루어진 풀에 해외의 투자은행들이 대규모 투자를 하였고, 이후 미국 주택가격이 하락하면서 MBS가 부실화되고, 그로인해 IB(투자은행)들이 고스란히 손해를 물려받게 되었다.
출처 : https://namu.wiki/w/%EB%B6%80%EC%B1%84%EB%8B%B4%EB%B3%B4%EB%B6%80%EC%A6%9D%EA%B6%8C?from=CDO

15. Turn-Key (턴키)
턴키는 열쇠(key)를 돌리면(turn) 모든 설비가 가동되는 상태로 인도한다는 뜻으로, 건설업체가 공사를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책임지고 다 마친 후 발주자에게 열쇠를 넘겨주는 방식을 말한다. 한 업체가 설계와 시공을 다 함께 맡아서 해 준다는 의미의 ‘설계시공 일괄입찰’로도 말할 수 있으며 영미권에서는 ‘design-build’라고 부른다.
출처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00396&cid=43665&categoryId=43665

반응형

댓글